• 최종편집 2023-12-03(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9.01 18:5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1.중앙대병원 신경외과 박용숙 교수 프로필사진11111111111111.png

신경외과 박용숙 교수


[글로벌문화신문]  중앙대학교병원(병원장 권정택) 박용숙, 이신헌 신경외과 교수팀은 경북의대 박기수 교수와 협업으로 지난 8월 초부터 ‘정상압 수두증'으로 진단된 환자에 대해 기존의 '뇌실-복강 단락술'과 더불어 국소마취 하 '요추-복강 단락술'을 실시하였다.
 
 ‘정상압 수두증’의 일반적인 치료는 전신마취를 통해 두개골에 구멍을 내 과다한 뇌척수액이 나갈 수 있는 우회로를 션트 튜브(플라스틱 관)를 이용해 뇌실에서 복강으로 빼는 '뇌실-복강 단락술'을 시행한다.
 
 '요추-복강 단락술'은 '뇌실-복강 단락술'과 달리 허리에서부터 복강 내로 우회로를 연결하는 수술법으로 머리에 구멍을 내는 ‘두개골 천공술’을 시행하지 않아 국소마취로도 시행이 가능하여 전신마취 고위험군 환자에서도 수술이 가능하다.
 
 

2.중앙대병원 신경외과 이신헌 교수 프로필사진11111111111111111.png

신경외과 이신헌 교수

 

중앙대병원 신경외과 박용숙 교수는 “정상압 수두증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기 때문에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증상을 면밀하게 관찰해 적극적인 검사를 시행하여 선별해 내야 한다”며, “중앙대병원에서는 '뇌실-복강 단락술' 및 '요추-복강 단락술'을 병행하여 각각의 수술의 장점을 살려 정상압 수두증에 대해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중앙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이신헌 교수는 “중앙대병원에서는 정상압 수두증 환자에 대해 수술-재활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진료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정상압 수두증‘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인데,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같은 치매로 오인해 방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65세 이상에 걸음이 느려지고, 기억력이 저하되고, 배뇨장애가 있으면 반드시 검사를 시행해 볼 필요가 있다.

 

 진단은 뇌CT 또는 뇌MRI 검사를 통해 뇌척수액이 있는 뇌실이 커진 것을 확인한 뒤, 요추 사이에 주사 바늘을 꽂아 30~50cc 정도의 뇌척수액을 허리에서 뽑아준 뒤 걸음걸이, 요실금, 인지기능 저하와 같은 증상이 개선되었는지 확인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태그

전체댓글 0

  • 3287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치매로 오인하는 ‘정상압 수두증’ 중앙대병원, ‘국소마취 요추-복강단락술’ 치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