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예총 이범헌 회장 초대개인전, 전시회 성황리에 마무리
대표적 “꽃춤” 연작 50점과 원작을 응용한 NFT 작품 10점 등 60여 점의 작품 선보여
지난 8월 30일부터 9월 8일까지 용산 디멘션 갤러리에서 열려
대표적 “꽃춤” 연작 50점과 원작을 응용한 NFT 작품 10점 등 60여 점의 작품 선보여
[글로벌문화신문] (사)한국예총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범헌 작가의 <꽃춤 II> 전시회가 지난 8월 30일부터 9월 8일까지 용산구에 있는 디멘션 갤러리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58-1 1층)에서 개최되었다.
전시회에는 원화 30점, 판화 20점을 비롯하여, 동영상 작품이 포함된 NFT 작품 10점, 도자기 2점 등 총 60여 점의 작품이 출품되었다.
지난해 6월, 미국 뉴욕에 있는 ‘케이트 오 갤러리 (Kate Oh Gallery)’에서 진행한 <Flower Dance> 전시에 이어 열린 이번 전시는 작가의 대표적인 연작인 ‘꽃춤’과 더불어 NFT 프로젝트로 진행된 <Dokdo Korea>, <Peace Myanmar> 등 다채로운 작품이 함께 전시되었으며, 기존의 작품들을 영상화하여 새롭게 표현된 NFT 작품들이 눈에 띄었다.
디멘션 갤러리
디멘션 갤러리
이범헌 작가는 오랫동안 ‘꽃춤(花舞)’을 주요 테마로 삼아 ‘인간의 화합’을 구현하는 작품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가장 한국적인 꽃 진달래와 철쭉으로 생동하는 생명의 이미지를 포착하고, 수많은 꽃들이 마치 군무를 추는 것처럼 화폭을 가득 채우면서 자연의 질서와 조화로움을 탁월하게 구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작품 중심에는 사람을 생각하고 있고, 동양 정신의 맥을 이으면서 상호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나가고 있다. 그것이 이 작가의 창작활동의 중심이다. 그가 생각하는 예술의 근원은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조화로운 삶속에 있다고 보았다. 우주의 원리와 자연의 섭리를 모두 이해하지 못한다 할지라도 인간의 능력으로 닿을 수 있는 범위에서 원리를 찾아가고 있었다.
전시장의 꽃 춤
전시장의 꽃 춤
또한 자연 만물의 일부인 이상 순리를 이해하는 것은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것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인간사회라고 하는 미래지향적 질서를 찾아가는 일이 예술의 근원이라고 생각하는 이범헌 작가!
그의 작품세계에 대해서 미국의 저명한 예술평론가이자 철학박사인 벤지 수 알렉산더 (Benij Su Alexander)는 이범헌 화백의 ‘꽃춤’ 작품에 대해 “이범헌 작가의 작품에 담겨 있는 꽃잎들의 군무는 복잡한 인간관계의 연결과 상호작용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며 “작품을 통해 우리가 사회적 동물로서 어떻게 서로 존재하는지에 대해 미묘하게 주의를 기울이게 한다”고 전했다.
dokdo_nft_300
dokdo_nft_300
또한 “작가의 다채로운 화법은 우리가 세상의 관찰자이자 구성원으로서의 각기 다른 ‘관점’과 ‘존재’를 스스로에게서 찾는 것에 대해 표현한다”며 평했다.
이범헌 작가는 전시회를 준비하며 “그동안 인간의 교류와 소통, 화합의 메시지를 다양한 구도와 화려한 색감으로 구현해왔고, 특히 진달래와 철쭉은 남과 북을 가리지 않고 한반도 전역에 걸쳐 봄을 장식하는 꽃으로 온 민족의 염원인 남북한의 화합을 표현하고자 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사단법인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의 회장이자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명예 이사장인 이범헌 작가는 개인전 40회, 국내외 단체전 및 기획전 1,000여 회에 참여하였고 <예술과 생활 (2016>. <예술인 복지에서 삶의 향유로 (2020)>, <2021 꽃춤 (2021)> 등 저서 발행과 칼럼 기고 등 다방면으로 예술인 복지와 문화향유 확대를 위해 앞장서고 있다.
이범헌_꽃춤(花舞)-Flower Dance_53x16.5cm_합죽선에 아크릴_2022
이범헌_꽃춤(花舞)-Flower Dance_100x80.5cm_Mixed media_2022
특히 그는 〈예술인 복지에서 삶의 향유로〉라는 저서를 통해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문화향유권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 중요성을 다뤘다. 우리나라 문화예술진흥과 문화예술인들의 복지, 국민들의 문화향유권 보장을 위한 정책방안을 거론하고, 누구나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고민과 해결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창작자와 향유자가 상생하는 문화예술 분야를 꿈꾸는 그는 “예술인을 위한 창작활동·복지·권익증진을 지원하고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한 문화향유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작가는 2008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동양화과 석사 과정을 졸업했으며, 주요 경력으로는 2017~20 제24대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2018 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 이사, 2018 육군본부 호국미술대전 조직위원과 2018 문화체육관광부 미술주간 조직위원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