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8(목)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05.11 20:56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마시모사진.jpg


[글로벌문화신문] 마시모(나스닥: MASI)가 인도 콜카타 의대 소속 데브딥타 다스(Debdipta Das) 박사와 공저자들이 중환자실 입원 환자 가운데 패혈 쇼크 환자들을 모니터링하는데 O3® 국부 옥시메트리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논문을 Journal of Anesthesia & Clinical Research에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1] 


마시모 루트(Masimo Root®) 환자 모니터링 및 커넥티비티 플랫폼에서 쓸 수 있는 O3는 뇌 또는 대뇌 조직(CrSO2) 등 연구 대상 부위의 국소 산소포화도(rSO2)를 측정하는데 비침습적 근적외분광분석법(NIRS)을 사용한다. 

 

연구자들은 O3 트렌드가 패혈 쇼크 환자들의 모니터링에 자주 사용되는 혈행역학 변수 및 젖산 수치 등과 상당한 정도 상관관계를 보인 것을 발견했다. 이들은 또 생존 환자들과 그렇지 못한 환자들 사이에서 rSO2 수치가 상당한 정도 차이가 있음을 찾아냈고, 이는 패혈 쇼크 환자들의 사망 가능성을 예측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구자들은 혈행역학적으로 문제가 있는 중환자실 환자들의 관리를 돕기 위해 조직관류를 평가하는 가치를 높게 평가하면서 비침습적 뇌 국소 산소포화도 모니터링이 다양한 한계(간헐적 및 지연 측정, 출혈 등)가 있을 수 있는 환자의 기준치 상태(바이탈 사인 모니터링 등) 및 침습적 방법(혈액 젖산 측정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 방법에 보완적 또는 대안적 방법이 될 수 있을지를 평가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40명에 달하는 성인 환자들을 모니터링 하고 패혈 쇼크 진단을 내리고 중환자실에 입원시켰고, 마시모 O3와 기타 측정 기기를 통해 입원 후 72시간에 걸쳐 7시간마다 측정했다. 


연구자들은 O3 대뇌 산소투여 트렌드가 패혈 쇼크 환자들을 모니터링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다른 매개변수들과 상당한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입원 후 첫 6시간 뒤 뇌 rSO2와 젖산 사이에 상당한 정도의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도 발견됐다(r = -0.749에서 -0.956). 연구자들은 또 대뇌 rSO2와 중심 정맥 포화도(r = 0.904에서 0.993), 동맥압 중간값(r = 0.957에서 0.993), 동맥 산소포화도(r = 0.864에서 0.988) 사이에서도 상당한 정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발견했다. 


특히 연구자들은 생존자(n = 29)들이 입원 후 72시간 동안 사망자(n = 11)들보다 대뇌 rSO2 수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대뇌 조직에서 측정된 O3 rSO2수치가 패혈쇼크 환자들의 사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일환으로 뇌혈관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경련, 마비가 있는 환자들과 뇌 양측의 rSO2 수치가 10% 이상 차이가 나는 환자들은 연구에서 제외됐다. 


연구자들은 대뇌 조직에 대한 마시모 O3 rSO2가 “패혈쇼크 환자들에게 일종의 매개변수가 될 수 있으며 사망률 예측 및 임상 결과에서 예후 가치를 가질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들은 또한 ”현재 연구에서 우리는 순환계 쇼크(패혈 쇼크)에 대한 NIRS 모니터링의 다른 새로운 이점을 연속 모니터링 및 결과 예측 변수임을 발견한 상태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은 NIRS 옥시메트리 측정값과 혈행역학적 변수들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이며, 특히 쇼크를 경험하는 환자들 사이에서 젖산 및 중심 정맥 산소포화도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는 쇼크를 경험하는 환자들의 순환계 상태를 신속하고도 비침습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내놓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6257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마시모, 연구 통해 O3®의 중환자실 환자들 패혈쇼크 모니터링 및 사망 가능성 예측 유용성 평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